MIRAE

대사증후군

치료보다 치유를 돕는 미래신경과의원

고지혈증이란?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과도하게 함유될 경우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과도한 지방 성분이 혈액 속을 돌아다니면서 혈관 벽에 쌓이게 돼 염증을 일으켜 나타나는 것이 바로 고지혈증입니다.
총콜레스테롤이 200mg/㎗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150mg/㎗ 이상인 경우,
저밀도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인 경우 고지혈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 증상
고지혈증 초기 증상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환자 스스로 자각했을 때 이미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계 질환이 발병한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고지혈증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면서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고지혈증 진단
금식을 한 후 시행하는 채혈검사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합니다.

고지혈증 치료

식사 조절과 운동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 및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약물치료가 고지혈증 치료의 중심이 됩니다. 약물치료에는 스타틴(statin) 계열의
약물이 널리 쓰이는데 이 계열의 약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로 작용하여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집중적으로 떨어뜨리고 중성지방도 일부 저하시킵니다.
드물게 근염(myopathy)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물 투여 후 근육통 발생 시
혈중 크레아틴 카이네이즈(creatine kinase(CK); 근육효소) 수치를 측정해야 합니다.

고혈압이란?

혈압은 혈관 내 혈압이 흐를 때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을 말합니다.
보통 수축기와 이완기로 구분하는데 심장이 수축할 때 가장 높은 수축기 혈압 수치가 나타납니다.
반면 심장이 이완되면 혈압 수치가 최저치로 떨어지는데 이를 이완기 혈압이라고 부릅니다.

정상 혈압
수축기 혈압: 120 mmHg
이완기 혈압: 80 mmHg 미만

고혈압
수축기 혈압: 120 ~ 139mmHg
이완기 혈압: 80 ~ 89mmHg

고혈압 원인

  • 짜게 먹는 식습관
  • 과음
  • 흡연
  • 운동 부족
  • 과체중

고혈압을 방치하면?

고혈압이 무서운 이유는 증상 자체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환자 스스로 자각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고혈압 상태를 방치하면 심장, 뇌, 말초혈관 등에 지속적으로 악영향을 끼칩니다.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젊을 때부터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아울러 평소 혈압 상태를 스스로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40대 이상 중장년층이라면
정기적으로 혈압 검사를 실시해 고혈압 여부 체크에 나서야 합니다.

특히 복부비만은 고혈압 뿐 아니라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에 의한 사망률을 높입니다.
따라서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소금 섭취량을 절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고혈압 환자의 하루 권장 소금 섭취량은
6g 정도입니다. 적정량의 소금 섭취는 혈압 강하 효과는 물론 칼륨 손실도 방지해
고혈압 및 골다공증, 요로결석 예방 효과를 나타냅니다.

비만·대사증후군이란?

비만대사증후군은 다양한 합병증 및 치명적인 질환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문제보다는 건강상의 문제가 더 큽니다.

남자의 경우 체지방이 체중의 25%를 넘을 때, 여자의 경우 30%이상일 때 비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량이 많은 경우에는 비만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단순히 체중으로만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하게 많은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소화기 기관은 우리 신체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 흡수, 저장, 배설하는 기능을 하며, 식도, 위, 소장, 대장을 비롯하여
간, 담도 및 췌장 등 범위와 질환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암과 대장암이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위암, 대장암은 조기 발견 및 치료적 접근이 환자 예후 및 생존율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내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_files/6kJT2HeLg.png
대사증후군
단일한 질병이 아니며,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인자가 더해져 발생하는 포괄적 질병입니다.
당뇨병, 고혈압, 만성콩팥병,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높이며, 유방암, 직장암 등 각종 암 발생 및 사망률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생활습관관리 등을 통해 이러한 질병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지질혈증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말합니다.
대부분 비만, 당뇨병, 음주와 같은 원인에 의해서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유전적 요인으로 혈액 내 특정 지질이 증가되어 이상지질혈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간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이내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한다.
최근 영양상태가 좋아지고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비만도측정

[키(Height) - 100 x 0.9 = 표준체중(Weight)]

Ex) 키가 170cm 일 경우 '170'에서 '100'을 뺀 뒤 여기에 '0.9'를 곱한 값, 즉 63kg가 표준 체중
(표준 체중보다 20% 높은 수치인 76kg 이상이라면 되면 비만으로 정의)

  • 허리둘레 · 엉덩이둘레
    (Waist Measure · Hip Circumference)

    남성 :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비율 0.95 이상 비만
    여성 :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비율 0.8 이상 비만

    ※허리둘레 남성 102cm 이상(40인치), 여성 88cm(35인치)이상 시 비만

  •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체지방과 상관관계가 있는 공식.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

    저체중, 정상체중, 과대체중, 비만으로 나누는 중요한 지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예방수칙

  • 01정기적인 내과진료를 통해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관리를 합니다.
  • 02지방질을 줄이고 야채를 많이 섭취합니다.
  • 03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하며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 04술, 담배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 05음식은 싱겁게, 그리고 골고루 먹습니다.